|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과의 신비적인 합일
- 해탈과 반야지혜
- 그리스도 예수
- 비파리타 카라니 무드라(Viparitakarani-mudra)
- 임종 전에 수행하는 크리야 기법
- 가야트리만트라
- 지축이동설
- The HOLY BIBLE(성경) : 크리야(Kriya)의 빛
- 크리야요가 기초
- AUM)
- 대사 카비르
-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
- 고전산책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안내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 20 Kriyā 비전
- 집중법(集中法) 다라나(Dharana)
- 제감법(制感法) 프라티하라(pratyahara)
- 잡아함경(雜阿含經)
- 아멘 (OM
- 산야스 (Sannyas)
- 크리야 수행의 핵심(The Keys of the Kriya Path)
- 송과선 청소 크리야 요가 기법
- 솔페지오 주파수(Solfeggio frequencies)
- 오리지널 크리야(Original Kriyas)
- 크리야의 계보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 크리야 요가(Kriya Yoga)'
- 우주창조의 만트라
- 드룬발로 멜키세덱
- Today
- Total
크리야 요가(Kriya Yoga) 수련소
차크라(Chakra, cakra) 본문
심상화를 위한 차크라(Chakra, cakra) 도(圖)
각 차크라의 특징을 이해하여 심상화 시킨다.
《영혼의 성 》7궁방  & 《영혼의 성》의 저자 성녀 예수의 데레사
| 
 | 
 | 
| 빈두(Bindu)는 point, drop을 뜻하는데 소마 차크라(Soma Chacra)라고 불리며 아우라(Aura)를 제8 차크라라고도 한다. | 
 | 
제1 물라다라 차크라(mūlādhāra chakra) - 임맥(任脈[CV] - Conception Vessel)의 회음(會陰)혈.
| - 쿤달리니가 통과할 때: 귀뚜라미 소리 
 ▷ 봉인이 해제되어야 할 부위는 신체전면 임맥(任脈) '회음(會陰)혈' 
 - 영어는 루트 차크라(Root Chakra)라고 하며, 우리 말로 근본 차크라라고 부른다. * 차크라 크세트람 & 그란티(정신적 봉인) 크리야 요가에서 차크라 크세트람이 여러 행법에서 수련에 이용된다. 크세트람은 원래 차크라의 반사로 간주될 수 있다. 물라다라에는 크세트람이 없다. 
 '브라마'의 봉인1이 작용한다. 육체적 쾌락과 물질 대상 집착, 지나친 이기심으로 타마스의 유혹적인 힘 즉 부정적인 생각, 무기력, 무지 등을 의미한다. | 
1. 물라다라 차크라(Muladhara Chakra)
<물라다라 차크라는 4장으로 이루어진 빨간색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색 상 | 제어 기관 | 주요 기능 | 위 치 | 신체 제어 | 자아 경향 | 
| 제1 물라다라 차크라Muladhara (근본, 기초) | 빨 강 | 후각, | 감정, 안정, 용기, 인내 | 척추 기저부 골반 신경총 | 본 능 | 자기 보존 | 
| 제어 기관 | 구성 요소 | 식물 / 향 | 정체성 | 보 석 | 동 물 | 
| 후각, 항문 | 흙, 땅 | 세다(Cedar), 로즈우드(Rosewood) | 육체적 | 루 비 | 코끼리 | 
제2 스와디스타나 차크라(svadhishana chakra) - 임맥(任脈[CV])의 '곡골(曲骨)혈'
| - 쿤달리니가 통과할 때: 방울 소리 - 산크리트어로 ‘스와(sva)’는 ‘자기자신’ ‘아디스타(adhistha)’는 거주처란 뜻으로 자기 자신의 자리라는 의미를 지닌다. - 스와디스타나는 육체적 생식기관과 배뇨기관에 해당되는데 생리적으로 남성의 전립 신경총과 여성의 자궁, 비뇨 신경총과 연관되어 있고 위치는 척추 끝, 미저골 부분이다. 이것은 항문 바로 위에 감지되는 동그란 작은 뼈이다. ▷ 제2 스와디스타나 차크라의 봉인: *신체전면 치골로서 '하복부 신경총'이 위치하는 임맥(任脈) - 곡골(曲骨)혈 *신체뒷면 독맥(督脈) - 장강(長强)혈 - 전생의 기억이 내장되어 있는 곳이며 육적인 추구, 욕구와 갈망의 영역이다. ① 관련기관 : 성기, 대장, 요추, 맹장, 방광, 엉덩이 부위, 다리 ② 정신적, 정서적 문제 : 책임감과 죄의식, 돈과 섹스, 힘의 통제, 창조력, 대인관계에서의 윤리와 명예이다. ③ 신체적 이상 : 만성요통, 좌골신경통, 남녀생식기 문제, 골반/요통, 성적인 힘, 소변이상. 성교불능, 불임증, 전립선확장, 여러 가지 성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 
2. 스와디스타나 차크라(Svadhisthana Chakra)
<스와디스타나 차크라는 6장의 주황색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감 각 | 색 깔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신체 제어 | 정체성 | 
| 제2 스와디스타나 차크라 Svadhishthana | 미각 | 오렌지 |  사회적자아, 의지, | 자기 만족 | 성 욕 | 감정적 | 
| 제어 기관 | 위 치 | 식물 / 향 | 구성 요소 | 보 석 | 동 물 | 
|  생식기 소화, |  하복부 신경총 |  카다멈(Cardamom), | 물 |  산호, | 악 어 | 
제3 마니푸라 차크라(manipura chakra) - 임맥(任脈)의 관원(關元), 석문(石門), 기해(氣海)혈 사이
| - 쿤달리니가 통과할 때: 종소리 - 마니푸라 차크라는 산스크리트어로 보석을 뜻하는 ‘마니(mani)’와 도시를 뜻하는 ‘푸라(pura)’로 이루어져 ‘보석으로 된 연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 마니푸라 차크라의 봉인해제 부위 * 신체앞면 임맥(任脈)의 관원(關元), 석문(石門), 기해(氣海)혈 사이 '태양 신경총'이 있는 하단전이다. * 신체뒷면 독맥(督脈) - 명문(命門)혈 봉인이 해제되면 영적안목이 습득되어 편견, 열등의식, 선입견이 사라진다. - 불교와 많은 탄트라 교전에 의하면 쿤달리니는 실질적 각성이 물라다라 차크라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마니푸라 차크라에서 일어난다고 기록되어 있다.(아래 두 차크라는 동물적 삶의 영역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 따라서 물라다라 차크라는 쿤달리니의 자리이며 스와디스타나 차크라는 거주처이고 각성(깨어남)이 마니푸라에서 일어난다고 하는 것은 마니푸라 차크라에서의 각성은 지속적이며 의식이 다시 아래로 떨어진 위험이 없다는 뜻이다. - 마니푸라 차크라에서의 각성은 보장된 각성이며 계속 상위 차크라로 각성상태를 올리기 위해서는 수련자가 매우 진지하고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생업에 종사하면서 영적진보를 위한 수련을 하며 스승을 찾고 보다 고양된 삶을 추구하려는 절실한 욕망을 가진 사람은 이미 전생에서 보다 상위의 차크라 각성을 이룬 사람으로 보아야 한다. - 마니푸라는 육체적 건강을 완성시키는 신체 내에 있는 모든 중요한 생리기관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 에너지(氣 프라나)를 합성해내며 에너지 통로 내의 프라나의 순환을 돕거나 촉진시키는 일을 한다. 합성된 기(氣)는 에테릭 체의 프라닉 흡입을 촉진한다. - 합성 기(氣)가 많은 사람은 적은 사람보다 더 많은 프라나를 끌어당길 수 있다. 합성 기(氣)가 적은 사람은 날씨가 좋지 않을 때 기운이 없게 된다. - 신체 내에 있는 모든 중요한 생리기관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① 관련기관: 복부, 위장, 장의 상부, 간, 쓸개, 신장, 췌장, 부신, 비장, 중간척추, 대장 등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② 정신적, 정서적 문제: 신뢰, 두려움과 위협, 자존심, 자신감, 자기존중, 자신과 타인 돌보기, 결정에 따른 책임감, 비판에 대한 감수성, 개인의 명예. 본능적인 앎 ③ 신체적 이상: 관절염, 위나 십이지장 궤양, 결장/장의 이상, 췌장염/당뇨, 소화불량, 식욕부진, 항진, 간 기능 이상, 간염, 부신기능장애변비, 설사, 음식의 영양분 흡수불능, 충수염, 장질환, 출산의 곤란, 저활력이다. | 
3. 마니푸라 차크라(Manipura Chakra)
<마니푸라 차크라는 10장의 노란색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위 치 | 색 깔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신체 제어 | 
| 제3  마니푸라 차크라 | 태양 신경총, | 노 랑 | 사회적 자아, 의지, 열정, 힘 | 자기 한정 | 소화 신진대사 | 
| 제어 기관 | 정체성 / 감 각 | 구성 요소 | 식물 / 향 | 보 석 | 동 물 | 
| 발, 다리 | 자 아 / 시각 | 불 | 라벤더(Lavender), | 토파즈 | 양 | 
제4 아나하타 차크라(Anahata Chakra) - 임맥(任脈[CV]의 단중(膻中), 옥당(玉堂)혈 사이
| - 쿤달리니가 통과할 때: 플룻 소리 - 아나하타(Anahata)란 ‘끊어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끊임없이 일정하게 계속되는 리듬으로 고동치는 심장과의 관계되어 이 이름이 지어졌다. 수많은 경전에서 이르길.., "물질적으로 경험되지 않는 초월적인 소리가 있는데 이 소리가 일생동안 한 번도 쉬지 않고 계속되는 심장의 박동처럼 끝없이 이어진다."라고 하였다. - 아나하타 차크라봉인이 해제 부위: * 신체전면 '심장 신경총'이 있는 '중단전'으로 임맥(任脈) - 단중(膻中)혈, 옥당(玉堂)혈 사이다. * 신체 뒷면 독맥(督脈) - 신주(神柱)혈  
 - 마니푸라 차크라의 태양신경총을 흥분시키면 심장 차크라 또한 흥분된다. 이 때문에 부정적인 감정이 결국에는 육체의 심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정수리 차크라가 개발되려면 심장 차크라가 열린다. ① 관련기관: 심장과 순환, 폐, 어깨와 팔, 갈비뼈/가슴, 횡경막, 흉선 ② 정신적, 정서적 문제: 사랑과 증오, 원한과 고통, 슬픔과 분노, 자기중심성, 외로움과 몰입, 용서와 연민, 희망과 신뢰, 태양신경총이 하위 감정인 반면에, 이곳은 평화, 고요, 기쁨, 동정, 친절, 관대, 부드러움, 사려 깊음, 인내, 민감함 같은 상위 감정 센터이다. ③ 신체적 이상: 충혈성 심장기능부진, 심근경색, 승모관탈수, 심전도이상, 천식, 알레르기, 폐암, 기관지 천식, 흉추, 유방암 - '비슈누'의 봉인점2 아나하타에서 작용하며 감정적 집착과 애정, 내적인 심령비전에 대한 집착을 나타내며 이것은 정열, 야망 고집 등의 경향성인 라자스와 연결된다. | 
4. 아나하타 차크라(Anahata Chakra)
<아나하타 차크라는 12장의 밝은 초록색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위 치 | 색 깔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신체 제어 | 정체성 | 
| 제4 차크라 |  심장 신경총 | 초록 | 자비, 용서, | 자기 승인 | 혈액순환 | 사회적 | 
| 제어 기관 | 구성 요소 | 감 각 | 식물 / 향 | 보 석 | 동 물 | 
| 혈액 순환 | 공 기 | 피부(손) | 마조람(Marjoram), | 에메랄드 | 검은 영양 | 
제5 비수다 차크라(Vishuddha Chakra) - 임맥(任脈[CV])의 염천(廉泉)혈
| - 쿤달리니 통과할 때: 사자, 소 우는소리 - 비슈다(Vishuddha)는 열린 마음을 나타내며 삶을 보다 큰 이해로 인도하는 경험의 제공자로 본다. 열린사람은 삶속에 불쾌한 일들을 피하고 기쁜 것만 추구하려는 노력을 멈춘다. - 제5 비수다 차크라(Vishuddha Chakra)의 봉인이 해체 되어야 할 부분은 임맥(任脈)의 염천(廉泉)혈에 해당하는 인후이고, '경동맥 신경총'이 있다. - 봉인이 해체되면 공포와 집착의식이 극복되고 회춘한다. 또한 고통스럽게 느끼던 삶이 자유로와지며 타인의 상념이 동화된다. ① 관련기관 : 목, 기도(기관), 목뼈, 인후, 갑상선, 경추, 입, 이와 잇몸 ② 정신적, 정서적 문제 : 선택과 의지력, 개인적인 표현, 꿈의 성취, 창조를 위한 힘의 사용, 탐닉, 판결과 비판, 신뢰와 지식, 결정하는 능력, 하위의 정신능력 또는 현실 마음 센터이다. 상위의 창조성센터인 반면 육체적 창조성센터인 성 차크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너무 많이 걱정하면 목 차크라가 과도하게 활성화된다. ③ 신체적 이상 : 불임, 뻐근한 목, 목디스크, 기관지염, 인후염, 목소리 손실, 천식, 만성적인 인후 통, 구강염, 잇몸이상, 입의 궤양, 하악골 관절이상, 척추만곡, 후두염, 내분비선 부기, 갑상선 이상 | 
비슈다 차크라(Vishuddha Chakra)
<비슈다 차크라는 자줏빛갈 오라를 띄운 16장의 파란색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정체성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위 치 | 신체 제어 | 
| 제5 비슈다 차크라 | 파랑 /창조적 | 자비, 용서, 평화, 조화 | 자기 표현 | 경동맥 신경총 | 혈액 순환 | 
| 감 각 / 색 깔 | 제어 기관 | 식물 / 향 | 구성 요소 | 보 석 | 동 물 | 
| 청각 / 파랑 | 성대 | 바질(Basil), | 에테르 | 남옥, 터키옥 | 흰 코끼리 | 
제6 아즈나 차크라(Ajna Chakra) - 인체 전면 정중선 기혈(奇穴) '인당(印堂)혈'
| - 쿤달리니가 통과할 때 스승의 목소리와 명령이 들리는 체험을 하게 된다. - 제6 아즈나 차크라의 봉인 해제되어야 할 부분은 인 체 전면 정중선 기혈(奇穴)인 인당(印堂)혈로 '송과선 신경총'이 위치하는 부위이다. 단전호흡의 상단전에 해당된다.[그림 참조] 
 | 
| 
 | ||
6. 아즈나 차크라(Ajna Chakra)
<아즈나 차크라는 두장의 은빛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위 치 | 색 깔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신체 제어 | 
| 제6 아즈나 차크라 | 송과선 신경총 | 은색 | 집중, 지혜, 지각 | 자기 반영 | 통찰력 | 
| 제어 기관 | 감 각 | 구성요소 | 식물 / 향 | 보 석 | 정체성 | 
| 마음의 눈 | 청 각 | 빛 | 히아신스(Hyacinth), | 석영,방해석 | 전형적 | 
창조의 원천 '빈두 비사르가(Bindu visarga)'
| - 빈두 비사르가(Bindu visarga)는 전생에서의 모든 카르마가 저장되어 있는 곳으로 전통적인 체험의 영역을 넘어서 있어 탄트라 교본에서 조차 언급되어 있지 않다.4 - 이들 카르마는 바사나(vasana)5의 형태뿐만 아니라 기억의 형태로도 존재한다. 뒤통수 윗부분에 위치하는데 빈두(bindu visarga)는 방울(drop), 점(point)을 의미한다. - 빈두는 하현달과 흰 방울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비슈다 차크라로 떨어지는 불노장생의 넥타암리트이다. 빈두 비사르가는 만물이 나타났다가 다시 되돌아가는 궁극적 원천이다. - 빈두의 위치는 힌두교 브라만 사제가 머리를 동여 매는 머리 뒤꼭지에 있다. 산스크리트어로 이 뒷머리 다발을 식샤라고 부르는데 이는 '불꽃'을 의미한다. | 
'빈두 비사르가(Bindu visarga)'
제7 사하스라라 차크라(Sahasrara Chakra) 독맥(督脈[GV] - Governor Vessel)의 백회(百會)혈
| - 제7 사하스라라 차크라의 봉인이 해체되어야 할 곳은 독맥(督脈[GV])으로 인체 뒷면 정수리 두정(頭頂) 앞, 백회(百會)혈이다. - 우주의 기(氣), 하늘의 기를 받아들이므로 천문이라고도 하며 '대뇌신경총'이 위치한다. 
 ① 관련기관: 근육체계, 두개골체계, 피부 ② 정신적, 정서적 문제: 삶을 신뢰하는 능력, 가치, 윤리, 용기, 인도주의, 이타심, 더 큰 틀을 볼 수 있는 힘, 신뢰감과 영감, 영성과 헌신 ③ 신체적 이상 : 에너지 교란, 정신적인 우울증, 신체이상과 무관한 만성피로, 빛 소리 기타 환경적인 요소에 극도로 민감함 | 
| 
 | |||
7. 사하스라라(Sahasrara Chakra)
<사하스라라 차크라는 1000장의 피어나는 금보라빛 꽃잎>
| 산스크리트 이름 | 위 치 | 색 깔 | 주요 기능 | 자아 경향 | 신체 제어 | 
| 제7 차크라 (천개의 꽃잎) | 대뇌 신경총 정수리: 백회혈 | 보라 | 신과의 합일, 우주적 각성, | 자기 인지 | 통찰력 | 
| 제어 기관 | 감 각 | 구성 요소 | 식물 / 향 | 보 석 | 정체성 | 
| 
 | 영적 깨달음 | 지식 |  유향(Frankincense), | 금강석 | 우주적 | 
- 각성된 쿤달리니가 올라가는 길에 방해되는 정신적 봉인(그란티)이 3개 있다. 이 봉인은 ‘브라마’, ‘비슈누’, ‘루드라’의 봉인이라 하며 마야의 힘, 무지, 물질에 특히 강하게 집착하는 의식 수준을 나타낸다. 상승하는 쿤달리니를 위한 깨끗한 통로를 만들기 위해 이 벽들을 넘어가야 한다.
 - '브라마'의 봉인은 물라다라 차크라에서 작용하는데 육체적 쾌락과 물질 대상에의 집착, 지나친 이기심으로 타마스의 유혹적인 힘 즉 부정적인 생각, 무기력, 무지 등을 의미한다.
 - '비슈누'의 봉인은 아나하타차크라에서 작용하며 감정적 집착과 애정, 내적인 심령비전에 대한 집착을 나타내며 이것은 정열, 야망 고집 등의 경향성인 라자스와 연결된다.
 - '루드라'의 봉인은 아즈나 차크라에서 작용하며 신통력, 심령현상, 자신을 개성적 자아로 보는 관념들에 대한 집착과 연결되어 있다. 영적인 진보를 계속하려면 개인적인 자아를 버리고 이원성을 넘어가야 한다.
 [본문으로]
- 각주 1 참조 [본문으로]
- 각주 1 참조 [본문으로]
- 《쿤달리니 탄트라》지은이 스와미 사티야난다 사라스와티. 번역 박광수 양문출판사. p 215 ~ 224
 [본문으로]
- 삶속의 행동과 사고 뒤에 있는 잠재적 충동.
 [본문으로]
'나디와 차크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나디(Nadi) & 경맥(經脈) (0) | 2013.06.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