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임종 전에 수행하는 크리야 기법
- 오리지널 크리야(Original Kriyas)
- 잡아함경(雜阿含經)
- 송과선 청소 크리야 요가 기법
- 고전산책
- 아멘 (OM
- 그리스도 예수
- 크리야의 계보
- 드룬발로 멜키세덱
- 지축이동설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 신과의 신비적인 합일
- 비파리타 카라니 무드라(Viparitakarani-mudra)
- 크리야 수행의 핵심(The Keys of the Kriya Path)
- 해탈과 반야지혜
-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
- 크리야 요가(Kriya Yoga)'
- 산야스 (Sannyas)
- 크리야요가 기초
- The HOLY BIBLE(성경) : 크리야(Kriya)의 빛
- 집중법(集中法) 다라나(Dharana)
- 가야트리만트라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안내
- AUM)
- 제감법(制感法) 프라티하라(pratyahara)
- 우주창조의 만트라
- 20 Kriyā 비전
- 대사 카비르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 솔페지오 주파수(Solfeggio frequencies)
- Today
- Total
목록2015/09 (5)
크리야 요가(Kriya Yoga) 수련소
하느님 말씀의 칼 & 위대한 대사제 '하느님의 말씀의 칼'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더 날카롭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영과 혼을 가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 사람들의 숨은 생각을 드러냅니다. 하느님 앞에서는 어떠한 피조물도 감추어져 있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하느님께 우리는 셈을 해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히브리서 4, 12-13] '위대한 대사제 예수 그리스도' 그런데 우리에게는 하늘 위로 올라가신 위대한 대사제가 계십니다. 하느님의 아들 예수님이십니다. 그러니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을 굳게 지켜 나아갑시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는 대사제가 아니라, 모든 면에서 우리와 똑같이 유혹을 받으신, 그러나 죄는 짓지 않으신 대사제가 계십니다. 그러므로 확신을 가..
- 이백일흔두 번째 이야기2015년 9월 24일 (목)말해야 할 때와 침묵해야 할 때말을 삼가기를 옥을 손에 쥐듯, 가득 찬 물 그릇을 들듯이 조심하라. 樞機是愼 執玉捧盈 추기시신 집옥봉영- 이첨(李詹 1345~1405)의 「눌헌명(訥軒銘)」, 『동문선(東文選)』권40에 실려 있다. 윗글은 여말선초(麗末鮮初)의 문신인 이첨이 지은 「눌헌명」에 나오는 구절이다. 우왕 1년(1375) 간관이었던 이첨은 당시 권신이었던 이인임(李仁任) 등을 탄핵하다가 하동(河東)에 유배되었다. 유배된 지 반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구설에 오를까 염려한 이첨은 유배지의 한구석에 집을 지어 ‘눌헌(訥軒)’*이라 이름 짓고는 스스로를 경계하고자 ‘명(銘)’**을 지었다. “질병은 입으로 들어오고 재앙은 입으로부터 나온다[病從口入, ..
《성무일도》- 시편 149, 150. 《소성무일도》 p 831, 941 교회의 자녀, 하느님의 새로운 백성은 그들의 왕 그리스도 안에서 기뻐하리라(헤시키우스). 시편 149 성인들의 기쁨 주님께 노래하라 새로운 노래 * 성도들의 모임에 그 찬송 울리어라. 기뻐하라 이스라엘 그를 내신 주님 두고 * 시온의 아들네는 즐기어라 그 임금 두고. 덩실덩실 춤을 추며 주님 이름 찬미하라 * 북치며 고를 타며 당신을 찬양하라. 당신 백성 괴옵시는 주님이 아니신가 * 낮고 낮은 사람들을 구원으로 꾸미시네. 영광이라 성도들은 춤이 무르익어라 * 자리마다 기꺼움이 흐뭇하거라. 하느님의 찬송이 그들의 입에 * 쌍날칼이 있거라 그들의 손에. 이로써 악한 무리를 복수하리라 * 뭇 나라 백성에게 벌을 주리라. 그들의 임금들을 사..
산스크티트어(실담어 悉曇語) - 배우기⊙ 산스크티트어 (실담어 悉曇語)란? ← 동이 문화원실담(悉曇)은 고대 천축국(天竺國)의 문자와 언어이며 산스크리트(梵語)로 싯담(siddham)이라 한다. 한나라(前漢) 때 오천축국(五天竺國)이 모두 이 글자를 사용하였다.당(唐)나라의 요사겸(姚思廉)이 지은 양서(梁書)에 천축국(天竺國)의 강역은 3만 리(三萬里)며 일명 신독국(身毒國)이라고 기록되어 있다.산해경(山海經)에 기록하기를 "동쪽나라 안의 북쪽의 모퉁이에 있는 나라 이름은 조선(朝鮮)이다. 조선은 천독(天毒)이며, 그 사람들은 물이 있는 곳에서 살고 사람을 사랑하고 가까이한다.-東海之內 北海之隅 有國名曰朝鮮天毒 其人水居외人愛之..."라고 기록되어 있다.천축국(天竺國)은 마고성(麻姑城)의 전통을 이어온 ..
차이탄야(Caitanya 1486~1534)1의 기도문 [내용 출처] 中和님 수련 후기에서 발췌(拔萃)한 내용입니다.[각주:2] ▷ 대승 불교 삼위일체론 ← 바로 가기 ▷ 삼신일체(三神一體i) - 트리무르티(Trimurti) ← 바로 가기 - 차이탄야 마하프라부(Chaitanya Mahaprabhu) - 〈하나〉 크리슈나를 찬양하나이다. 수많은 시간을 통하여 쌓인 이 심장의 먼지를 정화시키는 당신을 찬양하나이다. 삶과 죽음을 거듭하는 이 윤회의 불꽃을 잡는 크리슈나, 당신의 이름을 찬양하나이다. 〈둘〉 크리슈나여, 당신의 성스러운 이름만이 살아있는 모든 존재에게 축복을 줄 수 있나이다. 이 때문에 그대는 각기 다른 지역에서 천 가지 만 가지 이름으로 불리어지고 있나이다. 그리고 이 다양한 이름들을 통하여..